문제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00
문제 요구 조건
가로 길이가 n으로 주어지고, 세로 길이는 2로 고정되어 있다. 세로를 2로 고정하기 때문에 고려할 사항은 가로 길이뿐이다. 따라서 가로 n을 어떻게 채울 것인가에 대해 생각하면 된다. 그렇게 되면 두 가지 선택지가 있다. 직사각형 모양 타일을 세로로 쌓거나 혹은 가로로 쌓거나이다. 즉, 1과 2를 사용해서 n을 잘 채우면 된다. 처음에는 중복조합 등으로 풀 수 있나 했으나, 순서가 중요하지만 1만으로 이루어질 때는 또 같은 케이스로 치기 때문에 중복조합이나 순열 등으로는 풀 수 없었다.
문제 요건 분석
- 1과 2의 가지치기가 특정 조건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된다. → 재귀 풀이
- 특정 조건은 가지치기를 이어나가면서 숫자를 더해가며 n과 비교하는 것이다. n보다 크면 0(n 만들기 실패)을 반환하며, n과 같으면 1을 반환한다.
- n = 4일 경우, 다음과 같이 도식화 가능하다.
재귀 풀이
위의 도식을 그대로 코드로 구현하면 아래와 같이 구현이 가능하다.
def recursive(n, s):
"""
s: 누적합을 담고 있는 변수
"""
if s < n:
return recursive(n, s+1) + recursive(n, s+2) # 1과 2로 가지치기
elif s == n: # 탐색 성공
return 1
else: # 탐색 실패
return 0
def solution(n):
return recursive(n, 0) % 1000000007
위와 같이 누적합 s를 함수의 인자로 받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생각해보면, 재귀 깊이가 1씩 증가할 때마다 합을 더해서 그 합을 n과 비교하는 것은 반대로 n에서 1 혹은 2씩 빼주면서 0과 비교하는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코드 변경이 가능하다.
# 수정된 풀이
def recursive(n):
if n < 0:
return recursive(n-1) + recursive(n-2)
elif n == 0: # 탐색 성공
return 1
else: # 탐색 실패
return 0
def solution(n):
return recursive(n) % 1000000007
실은 이 문제의 경우, 재귀 풀이는 굉장히 비효율적이라 시간초과가 발생한다. 왜 비효율적인지를 파악하기 위해서 위의 코드를 다시 도식화해보자. 이번엔 각 노드를 함수 호출로 표현해본다.
도식에서 알 수 있듯이, 같은 함수가 중복되어 호출됨을 알 수 있다 (하이라이트 표시). 따라서 기존에 계산되었던 함수를 다시 계산해야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으로 동작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중복 계산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해당 함수의 결과값을 다른 곳에 저장해두면 된다.
동적계획법 풀이
즉, 이 문제는 동적계획법(Dynamic Programming)으로 풀이를 하게 된다. 이미 계산된 함수값을 다시 저장해두는 것을 메모이제이션(memoization)이라고 한다.
메모이제이션을 통해, 함수 호출 트리는 다음과 같이 pruning될 수 있다.
DP 풀이는 위의 재귀 풀이에서 함수값을 담아둘 배열만 선언해주면 된다. 코드는 다음과 같다.
import sys
sys.setrecursionlimit(60000) # 재귀 깊이를 n의 최대 범위만큼 늘려줌.
def solution(n):
def dp(n):
if mem[n] != -1:
return mem[n] # 그렇게 되면 mem은 어디서 업데이트 시키는지가 중요함.
if n > 0:
mem[n] = (dp(n-1) + dp(n-2)) % 1000000007
return mem[n]
elif n == 0:
return 1
else: # n is non-negative
return 0
mem = [-1 for _ in range(60000)]
answer = dp(n)
return answer
mem 배열에 해당 n의 값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부분을 추가해주고, 어디에서 mem[n]에 dp(n)값을 할당해줄 것인지를 추가해준다면 문제 없이 풀이가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mem에 함수값을 저장할 때 나머지 연산(%1000000007)을 수행해줘야 효율성 테스트 통과가 가능하다. 또한, 파이썬은 재귀 호출 시 깊이가 얕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강제적으로 재귀 깊이 제한을 늘려주는 것이 필요하다. 호출 트리를 보면 트리의 높이는 n이기 때문에 재귀 깊이 제한은 문제에서 주어진 n의 최대 크기인 60000으로 지정해주면 된다.
각 풀이의 시간복잡도
재귀 풀이의 시간복잡도와 같은 경우에는 함수 호출 트리의 노드 개수와 동일하다. 함수 호출은 2개의 가지로 뻗어나가기 때문에, 이진 트리로 구성되며 이 경우에 노드 개수는 최악의 경우 $O(2^n)$이다.
DP 풀이의 시간복잡도는 (대략적으로) 경사 트리의 노드 개수(혹은 호출 트리의 높이)와 마찬가지이므로 (재귀적으로 n=0이 될 때까지 호출하면서 0부터 n까지의 함수값이 모두 배열에 저장이 되기 때문에 함수 호출 트리는 경사 트리와 유사하게 구성이 될 것), $O(n)$의 시간복잡도를 갖게 된다.
정리
전체적으로 풀이는 피보나치 수열과 매우 유사하다. 재귀함수와 친하지 않아서 처음에 재귀로 어떻게 구현할지가 조금 까다로웠던 것 같다. 피보나치 수열과 유사하다는 걸 깨닫는 순간 풀이가 매우 쉬워지는 듯하다. 다만, 위의 DP 풀이는 공간복잡도를 포기하면서 시간복잡도를 줄였기 때문에 공간 복잡도도 효율적으로 가져가면서 풀이가 가능할지 또한 추후에 생각해볼 사항인 듯하다.
'프로그래밍 > 알고리즘 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프로그래머스 - 하노이의 탑 (0) | 2022.06.13 |
---|---|
[Python] 프로그래머스 - 대중소 괄호 짝 맞추기 (0) | 2022.06.13 |
[Python] 프로그래머스 - 네트워크 (0) | 2022.05.15 |
[Python] 프로그래머스 - 빙고 (feat. set의 시간 복잡도) (0) | 2022.05.05 |
[python] 프로그래머스 - 전염병 (0) | 2022.01.15 |